본문 바로가기
후니 극장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서 가장 귀여운 캐릭터 (전통 모티브, 더피, 굿즈 반응)

by 후니 스토리 2025. 7. 17.
반응형

 

호랑이 캐릭터 더피

안녕하세요 후니 극장북입니다. 오늘은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서 사랑 받는 캐릭터, ‘더피’와 ‘서씨’에 대한 리뷰를 해보겠습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한국 전통 문화와 현대 KPOP을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으로, 한국계 감독 매기 강(Maggie Kang)의 주도 아래 제작되었으며, 다양한 한국전통을 시각화한 콘텐츠 영화입니다. 그중에서도 조선시대 민화인 ‘작호도’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한 캐릭터 '더피(호랑이)'와 '서씨(갓을 쓴 까치)'는 귀여운 외모로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저는 이 귀여운 캐릭터들의 탄생 배경과 캐릭터 소개를 중심으로 리뷰를 해보겠습니다.


작호도에서 영감받은 캐릭터

감독 매기 강은 “한국 전통 민화 ‘작호도’를 보며 캐릭터 영감을 얻었다”고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작호도는 조선 후기 사회 풍자적 성격을 지닌 '바보호랑이'와 '당당한 까치'를 표현한 민화입니다. 매기 강 감독은 리서치를 위해 한국에 여행을 오기도 할 만큼 열정적이였으며, 북촌과 민속촌, 명동의 거리를 직접 걷고 느끼며 디테일을 잡았다고 합니다. 이러한 노력덕분에 영화에서 등장하는 한국음식의 메뉴와 젓가락 아래의 티슈 등의 장면과 같이 디테일한 한국의 문화까지 표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녀는 특히 "서울은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도시이며, 이 감성을 시각적으로 구현하고 싶었다"고 인터뷰에서 언급한적이 있습니다. 이와 같은 접근으로 인해 캐릭터 디자인뿐 아니라 배경 설정 등 전반적인 연출에도 한국인으로서 익숙한 장면이 많이 구현된 것 같습니다. 


더피와 서씨의 디자인: 전통과 창작의 경계

호랑이 캐릭터 더피는 파란색과 검정색이 혼합된 색채를 기반으로 캐릭터가 구성되었으며, 민화 속 호랑이의 특유한 눈매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전통 민화의 강렬한 이미지를 살리면서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였고, 거기다 귀여운 분위기를 더한 캐릭터로 완성하여 데몬헌터스의 가장 많은 사랑을 받는 캐릭터로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까치 캐릭터 서씨는 갓을 착용한 캐릭터로 등장하며, 이는 조선시대 사대부의 이미지를 차용한 독창적 캐릭터입니다. 날개깃은 부채 형태로 표현되었고, 동양화에 자주 등장하는 까치의 흑백 대비가 복장에도 적용되어 있습니다.
두 캐릭터 모두 고유의 전통미를 잃지 않고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감독의 노력이 느껴지는 캐릭터입니다. 이는 한국 전통문화에 익숙한 한국인 뿐만 아니라, 해외 팬들에게도 동양 미학을 느끼게 해주는 좋은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팬 반응과 문화 콘텐츠로서의 의미

더피서씨 캐릭터는 공개 직후부터 국내외 커뮤니티에서 “작호도를 살아 움직이게 만든 것 같다”, “한국 민화의 새로운 활용 사례”라는 반응을 이끌었습니다. 특히 더피는 독보적인 인기를 얻고 있음에도 아직 공식 굿즈로는 출시되지 않아, 이를 아쉬워한 팬들 사이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의 ‘작호도 배지’가 갑작스레 매진된 웃픈 사례가 있었습니다. 그만큼 더피의 캐릭터가 팬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것이 느껴집니다.
그리고 정식 굿즈가 출시되고 있지 않다보니 팬들의 아쉬움으로 직접 팬아트, 커스텀 굿즈, 일러스트 NFT, 아트북 등이 다양한 플랫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저 또한 정식 굿즈가 빨리 출시되면 좋겠네요.
글로벌 팬들은 해당 캐릭터를 통해 한국 전통문화의 아름다움과 해석 가능성을 동시에 접하고 있으며, 국립중앙박물관의 외국인 방문자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 사례를 보면 이러한 한국적인 영화들을 앞으로 자주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 작호도 배지

 

반응형